티스토리 뷰
1. “계획은 많은데, 왜 항상 미루게 될까?”
해야 할 일은 머릿속에 가득하다.
계획표도 잘 짜고, 목표도 명확하다.
그런데 막상 하루가 끝나면
이루어낸 것은 거의 없고,
“내일 제대로 하자”는 말로 스스로를 위로한다.
이 문제의 핵심은 목표의 크기다.
너무 크고 막연하기 때문에 시작조차 어렵다.
해결책은 단순하다.
‘10분짜리 마이크로 목표’를 만드는 것.
작고 구체적인 목표를 쪼개면, 실행력이 터진다.
2. 마이크로 목표란 무엇인가?
마이크로 목표는 말 그대로 극도로 작고 단기적인 목표다.
- 1시간 단위가 아닌, 10분 단위로 나눈 실행 목표
- 결과보다 행동 중심
- 중요성보다 즉시 실행 가능성 우선
예시 비교
블로그 글 작성 | 제목 3개 후보 써보기 (10분) |
운동하기 | 플랭크 1세트 (10분) |
책 읽기 | 첫 장 3페이지 읽기 (10분) |
공부 시작 | 단어장 10개 암기하기 (10분) |
방 청소 | 책상 위 물건 5개 정리 (10분) |
3. 왜 10분 단위가 효과적인가?
✅ 1) 뇌가 ‘할 수 있다’고 느낀다
작은 목표는 거부감이 적고, 시작 문턱이 낮다.
✅ 2) 실행 후 즉시 성취감이 생긴다
10분 안에 끝나는 목표는 즉각적인 결과를 체감할 수 있다.
이 경험이 다음 행동의 동기부여가 된다.
✅ 3) 실패해도 부담이 없다
목표가 작기 때문에 실패하더라도
**‘전체 실패’가 아닌 ‘부분 미완성’**으로 느껴진다.
✅ 4) ‘시작’을 쉽게 만든다
대부분의 일은 시작만 하면 절반은 성공이다.
10분짜리 목표는 바로 시작하는 데 최적화돼 있다.
4. 마이크로 목표 설정 3단계 실전 루틴
🔹 STEP 1: 큰 목표를 3단계로 쪼개라
예: “이력서 완성하기”
① 텍스트 내용 구상
② 항목별 문장 쓰기
③ 오탈자 교정 및 포맷 정리
🔹 STEP 2: 각 단계를 10분 단위로 나눈다
① 텍스트 내용 구상
- ‘자기소개 문장 3줄 작성’ (10분)
- ‘성장 과정 키워드만 정리’ (10분)
🔹 STEP 3: 할 일 목록에 ‘시간 표시’
단순히 “자기소개 작성”이 아니라
“10분 → 자기소개 문장 초안 쓰기”
이렇게 표시하면 명확성 + 시급성이 동시에 생긴다.
5. 하루를 마이크로 목표로 구성하는 예시
09:00 | 뉴스레터 제목 후보 5개 작성 | ☑ |
10:30 | 회의록 초안 구조 잡기 | ☑ |
14:00 | 블로그 문단 1개 쓰기 | ☑ |
15:00 | 유튜브 썸네일 아이디어 스케치 | ☑ |
18:30 | 오늘 쓴 콘텐츠 한 줄 요약 | ☑ |
이처럼 작지만 구체적인 목표가 누적되면
하루의 ‘성과 감각’이 달라진다.
6. 생산성 도구에 접목하기
- Notion / 구글 캘린더:
→ 마이크로 목표를 시간 단위로 시각화 - 타이머 앱 (Pomodoro 등):
→ 10분 단위 집중 구간 설정 - 할 일 앱 (TickTick, Todoist 등):
→ 항목에 [10min] 표시만 해도 즉시성 강화
7. 자주 묻는 질문 (FAQ)
Q1. 작은 목표만 하면 진짜 결과가 나올까?
👉 작은 목표는 시작을 위한 도구다.
10분 목표로 시작해 흐름이 타면, 20분, 30분도 자연스럽게 연결된다.
Q2. 너무 사소한 목표는 시간 낭비 아닌가?
👉 사소해 보여도 실행이 멈춘 것보다 훨씬 낫다.
실행력은 양보다 지속성에서 나온다.
Q3. 하루에 몇 개 목표가 적당한가?
👉 시작은 3개, 익숙해지면 5~7개로 늘리되, 중요도보다 실행 가능성을 우선하라.
8. 마무리 – 실행력은 작고 구체한 목표에서 시작된다
하루는 24시간, 1440분이다.
그중 단 10분을 의식적으로 설계하는 것만으로도
당신의 실행력, 집중력, 성취감은 달라진다.
작다고 무시하지 마라.
10분은 충분히 크다.
오늘 단 하나의 마이크로 목표를 정해보자.
그 10분이 당신의 방향을 바꾼다.